CodeStates(49)
-
클라이언트 / 서버 통신
Client Server Architecture (= 2 Tier Architecture) - 상품 정보와 같이 리소스가 존재하는 곳과 리소스를 사용하는 앱을 분리시킨 것 클라이언트는 손님, 서버는 서빙하는 사람으로 생각해보자 리소스(메뉴)에 접근하려고 하는 손님이 리소스를 갖고 있는 점원에게 물품을 요청해야 한다. 요청에 따라 점원은 리소스를 담아 응답한다. 이처럼 클라이어트와 서버는 요청과 응답을 주고 받는 관계 요청이 선행되고 응답이 온다 요청이 없다면? -> 응답도 없지 그런데 보통 서버는 리소스를 전달해주기만 할 뿐.. 저장하는 공간은 따로 두는 것이 보통이다 리소스 저장 공간을 데이터 베이스라고 한다. 데이터 베이스가 추가되면 3 티어 아키텍처라고 부른다.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종류 ------..
2021.04.30 -
자바스크립트 Promise (1)
Promise 란? - Promise 는 자바스크립트 비동기 처리에 사용되는 객체 Promise 생성자 함수를 new 연산자와 함께 호출하면 프로미스(객체)를 생성 Promise 생성자 함수는 비동기 처리를 수행할 콜백 함수를 인수로 전달받는데 이 콜백 함수는 resolve와 reject 함수를 인수로 전달 받는다. // Promise 생성 const promise = new Promise((resolve, reject) => { // Promise 함수의 콜백 함수 내부에서 비동기 처리를 수행 if(/* 비동기 처리 성공 */) { resolve('result') } else { /* 비동기 처리 실패 */ reject('failure reason'); } }); Promise 생성자 함수가 인수로 전..
2021.04.28 -
자바스크립트 비동기 처리와 콜백함수
동기 처리 방식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한 번에 하나의 태스크만 실행할 수 있는 싱글 스레트_single Thread 방식으로 동작한다. 싱글 스레트 방식은 한 번에 하나의 태스크만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에 시간이 걸리는 태스크를 실행하는 경우 블로킹_blocking(작업 중단)이 발생한다. 예제 // sleep 함수는 일정 시간(delay)이 경과한 이후에 콜백 함수를 호출한다. function sleep(func, delay) { // Date.now() 는 현재 시간을 숫자로 반환한다. const delayUntill = Date.now() + delay; // 현재시간(Date.now())에 delay 를 더한 delayUntil이 현재 시간보다 작으면 계속 반복 while(Date.now() ..
2021.04.27 -
codestates 6주차 회고 (Immersive 2주)
Immersive 를 시작하고 2주가 지났다. 시작하기 전에는 기수이동을 심각하게 고민했는데.. 도전해보기로 마음을 먹고 현재 도전하고 있다. 첫주는 상당히 무난했다. git으로 페어와 작업하는 방법, node.js와 npm, nano편집기 등을 활용하는 방법을 배웠다. 그때까지는 매우 재밌고 즐거웠고 자신감도 뿜뿜! 그런데.. OOP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으면서 부터 많이 흔들렸다. bees와 dance party 스프린트 과제는 그래도 구글링도 하고 페어님과 함께 잘 해결했다. 그러나.. 자료구조에 들어서면서 부터 멘탈이 무너지기 시작했다. 대학에 컴퓨터 공학과 친구들이 1학기 동안 배우는 것을 3일간 배우게 된다. 이걸 다 확실히 알아야 한다! 라고 가르치지는 않는다. 이런 개념에 대..
2021.04.17 -
자료구조 Graph / Tree / Binary Search Tree
오늘은 자료구조 Graph / Tree / Binary Search Tree 에 대해 학습했다. 내가 아는 지식 선에서 개념만 정리 해보고자 한다. Tree 먼저 앞에서 Array, Stack, Queue 에서 배웠는데 이것들은 일직선 데이터 구조이지만 Tree는 부모 자식이 관계를 가짐.. 계층이고 그룹이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노드가 하나 이상의 child를 갖기 때문 데이터가 바로 아래에 있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단반향으로 연결되는 계층적 자료구조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나열시킨 형태인 선형 구조 x, 하나의 데이터 뒤에 여려 개의 데이터가 존재할 수 있는 비선형 구조 계층적으로 표현이 되며 아래로만 뻗기 때문에 사이클 x 트리 구조는 루트(Root) 라는 하나의 꼭지점 데이터를 시작으로 여러 개의 ..
2021.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