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kdown - 표
2022. 3. 10. 03:10ㆍTIL(Today-I-Learned)/Markdown
728x90
반응형
# 표(Table)
position 속성
값 | 의미 | 기본값
-- | -- | --
static | 기준 없음 | O
ralative | 요소 자신 | X
absolute | 위치 상 부모 요소 | X
fixed | 뷰포트 | X
| (버티컬 바)로 행을 구분한다.
행의 개수 만큼 -- 를 입력하고 | (버티컬 바)로 구분한다.
-- | -- | -- 부분을 기준으로 머리와 몸통 부분을 구분한다.
그래서 값, 의미, 기본값이 굵은 글씨로 나타난다.
표 안에 내용은 왼쪽 정렬이 기본값
머리와 몸통을 구분해주는 영역에 : (콜론)을 붙여서 정렬을 변경할 수 있다.
가운데 정렬하려면 가운데 --(하이픈)을 :(콜론)으로 감싸준다.
-- | :--: | --
position 속성
값 | 의미 | 기본값
-- | -- | --
static | 기준 없음 | O
ralative | 요소 자신 | X
absolute | 위치 상 부모 요소 | X
fixed | 뷰포트 | X
이번엔 기본값을 오른쪽 정렬 해보자.
오른쪽 정렬 --(하이픈)에 오른쪽에 :(콜론)으로 써준다.
-- | -- | --:
position 속성
값 | 의미 | 기본값
-- | -- | --:
static | 기준 없음 | O
ralative | 요소 자신 | X
absolute | 위치 상 부모 요소 | X
fixed | 뷰포트 | X
단점은 복잡한 표를 만들 수는 없다.
728x90
반응형
'TIL(Today-I-Learned) > Markdown'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rkdown - 원시 HTML, 수평선 (0) | 2022.03.10 |
---|---|
Markdown - 인용문, 코드 강조 (0) | 2022.03.10 |
Markdown - 링크, 이미지 (0) | 2022.03.09 |
Markdown - 강조, 목록 (0) | 2022.03.09 |
Markdown - 제목, 문장, 줄바꿈 (0) | 2022.03.09 |